[골프칼럼] 노년에 최적 운동 골프
건강하게 노년을 잘 보내려면 운동이 필수라는 것은 누구나 잘 알고 있다. 시니어들에 최적의 운동은 유산소 운동과 근력 운동이며 꾸준히 지속해서 할 수 있는 운동을 선택해야 한다는 전문가들의 조언이 있다. 그렇다면 이에 알맞은 적합한 운동이 무엇일까? 일찌감치 선진 고령화가 된 일본에선 노년에 효과적인 최적의 운동법과 건강 관리법에 관한 다양한 연구 자료가 축적되어 있다. 이럴 때 우리와 생활 패턴이나 신체적 조건이 비슷한 일본의 자료를 한번 참고해 보는 것도 좋을 것 같다. 최근 곤도가 쓰노리(近藤克則) 치바대학 명예 교수가 일본 내 남녀 시니어 7만여명을 대상으로 운동 종류별로 나누어서 3년 동안 노인들의 신체 건강에 어떤 변화와 효과가 있었는지에 관한 자료를 소개했다. 건강유지, 우울감 예방, 행복감 향상, 웃음 유지 등 4가지에 대한 심리적 건강 지표를 추적 조사해서 어느 운동이 가장 적합하고 꾸준한 운동 효과가 있었는지에 대한 조사였다. 위 4가지 부분에서 남녀 시니어들에 가장 적합하며 효과가 좋았던 순위가 골프다. 선호한 운동은 나이와 성별에 따라 조금씩 달랐지만 지속해서 꾸준히 할 수 있고, 심리적인 효과 등에서 최우선 순위가 골프(파크 골프 포함), 걷기, 체조, 수영, 근력운동 순서라는 내용이다. 곤도가 쓰노리 교수는 단체 운동이 사교의 폭을 넓혀주고 공감대 형성을 통해서 재미있게 운동할 가능성이 높았다는 점을 특별히 강조하고 있다. 걷기, 체조, 수영, 근력운동은 대체로 혼자서 하는 운동이기 때문에 지루하다거나 싫증이 난다는 이유 등으로 ‘도중하차’ 하는 참가자가 많았으며, 골프와 같은 종류의 단체 운동에 참여한 사람들이 혼자 하는 운동에 참여한 사람들보다 운동 지속률이 남성은 거의 3배, 여성은 8배나 높았다고 분석했다. 골프는 주로 3~4명의 동반자와 함께 4~5시간을 즐기는 운동을 하며, 필드를 걸을 때는 유산소 운동이고 스윙을 할 때는 전신 근력운동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골프 코스 18홀을 걸어서 라운드하게 되면 8~9Km의 필드를 1만2000보 이상 걷게 되고 유산소 운동과 스윙할 때 근력 운동을 합치면 1200~1500칼로리가 소모되는 운동이다. 이것은 45분간 매우 강도 있는 웨이트 트레이닝 또는 2시간 정도의 빨리 걷기나 조깅하는 운동과 칼로리 소모량이 비슷하다는 분석이 있다. 만약에 18홀 카트를 타고 플레이할 경우에도 최소 600~700칼로리가 소모되는 운동 효과를 볼 수 있다. 골프는 유산소 운동은 물론 골프스윙 자체가 전신 근력 운동이다. 싱글 핸디캡 고수라도 매 홀 최소한 4~5번 스윙을 하게 되고, 라운드가 끝나면 적어도 90회 또는 그 이상의 몰입도가 높은 스윙을 한다. 아무리 어설프고 엉성한 초보자의 스윙이라 할지라도 발끝에서 골반까지 체중을 실어 버티게 되고 허리와 어깨의 회전 운동과 함께 양팔을 상하좌우로 격렬히 움직이는 운동을 하는데, 이때 신체의 모든 근육을 반복 자극함으로써 전신의 근력 강화 및 균형감각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는 것이다. 어떤 홀은 볼이 잘 맞기도 하지만 최악의 홀도 있다. ‘다음 홀에서 더 잘될 거야!’라는 기대와 희망이 반복되고 성공과 실패를 되풀이하면서 감정의 폭을 조절할 수 있는 운동도 골프다. 노년에는 이런저런 감정의 변화를 조절하고 절제하는 연습을 평소에 해두는 것만이 ‘우울함을 긍정적으로 바꿔 주는 데 효과적이다.’라는 의학 자료도 있다. 또한 골프는 플레이를 잘하든 못하든 전략이 필요하며, 샷 할 때마다 거리와 지형에 맞는 클럽을 선택해야 하고 거리 계산과 스윙 방법을 기억해 내야 하는 두뇌 회전 능력이 절실히 요구되는 운동이다. 이러한 종합적 사고 능력과 집중력에 도움을 주는 골프는 나이와 상관없다, ‘클럽을 들고 흔들 수만 있다면 누구나 할 수 있는 운동’이란 골프속담처럼 노년에 최적의 운동임이 분명해 보인다. 정철호 / 골프 칼럼니스트·티칭 프로 Class A-1골프칼럼 골프 노년 전신 근력운동 유산소 운동 근력 운동